주거안정장학금 첫 시행: 대학생 월 최대 20만 원 지원
대학 진학을 앞둔 많은 학생들에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바로 주거비 부담입니다. 이러한 걱정을 덜어주기 위해, 올해부터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바로 **'주거안정장학금'**입니다. 이 장학금은 원거리 대학에 진학한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대학생들에게 월 최대 20만 원을 지원하여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자 합니다.
원거리 대학에 진학한 기초·차상위 대학생을 위한 주거안정장학금이 첫 시행됩니다. 신청 방법과 자격 요건을 확인하세요.
1. 주거안정장학금이란?
주거안정장학금은 원거리 대학에 진학하여 주거비 부담이 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대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2. 지원 대상 및 자격 요건
이 장학금의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대학생: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우선 지원합니다.
- 원거리 대학에 진학한 학생: 부모님의 주소지와 대학 소재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위치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3. 지원 금액 및 기간
- 지원 금액: 학기 중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 지원 기간: 한 학기 동안 매월 지원되며, 학기별로 신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신청 방법 및 기간
- 신청 기간: 2월 4일부터 3월 18일까지입니다.
- 신청 방법: 한국장학재단 누리집과 앱을 통해 24시간 신청 가능합니다.
5. 원거리 진학의 기준은?
원거리 진학 여부는 다음과 같이 판단됩니다:
- 서로 다른 교통권: 대학 소재지와 부모님의 주소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위치해야 합니다.
- 예시: 수도권 소재 대학에 다니지만 부모님의 주소지가 수도권이 아닌 경우.
- 반면, 대학이 서울에 있고 부모님의 주소가 경기도 성남시인 경우, 모두 수도권에 해당하여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6. 참여 대학 목록
현재 255개 대학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대학 목록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 주거안정장학금과 국가장학금의 차이
- 주거안정장학금: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으로, 원거리 진학한 기초·차상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 국가장학금: 등록금 지원을 목적으로 하며, 소득 구간에 따라 지원 대상이 결정됩니다. 올해부터 지원 대상이 기존 8구간에서 9구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8. 주거안정장학금으로 지원되는 항목
지원되는 주거 관련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임차료: 전·월세 등 주택, 기숙사, 고시원 등의 거주를 목적으로 지급하는 사용료.
- 주거 유지·관리비: 수선유지비, 공동주택관리비 등.
- 수도·연료비: 상하수도, 전기, 가스, 열, 등유, 연탄 등.
- 주택임차·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주택 임차나 저당 차입금의 이자 상환액.
9.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대학 소재지가 서울이고, 부모님 주소가 경기도 성남시입니다. 지원 대상인가요?
아니요. 대학 소재지와 부모님 주소지가 모두 수도권에 해당하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지 않아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Q2. 대학 소재지가 대전이고, 부모님 주소가 서울입니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네. 대학 소재지가 대전이며, 부모님 주소지가 서울로 서로 다른 교통권에 위치하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대학 소재지가 경상남도 창원시이고, 부모님 주소가 경상남도 진주시입니다. 지원 대상인가요?
아니요. 창원시와 진주시는 인접한 시로 같은 교통권에 해당하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Q4. 대학 소재지가 전라북도 전주시이고, 부모님 주소가 전라북도 남원시입니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네. 전주시와 남원시는 인접하지 않은 시로 서로 다른 교통권에 해당하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5. 주거안정장학금은 어떤 항목을 지원하나요?
월 20만 원 한도 내에서 임차료, 주거 유지·관리비, 수도·연료비, 주택임차·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등 주거 관련 비용을 지원합니다.